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IT/Javascript6

함수 자바스크립트를 배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처음으로 부딪히는 개념이 바로 함수(function)입니다.처음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알고 보면 굉장히 논리적이고 재밌는 개념이에요.특히, 웹 개발에선 함수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필수 요소죠.그래서 오늘은 자바스크립트 함수에 대해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릴게요.🔗 [자바스크립트 기본 개념 정리 글도 함께 보기]함수, 어렵지 않아요! – 함수란 무엇인가?함수(Function)는 쉽게 말해 코드 묶음이에요.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들을 하나로 묶어서, 필요할 때마다 재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거죠.예를 들어, 우리가 커피를 타는 과정을 생각해볼게요function makeCoffee() { console.log("컵 준비"); console.log.. 2022. 12. 21.
자바스크립트 - else [자바스크립트 else 문 제대로 알기] – 조건 분기를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방법웹 개발을 하다 보면 특정 상황에 따라 다른 행동을 하도록 프로그램을 제어해야 할 때가 많아요.이럴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도구가 바로 if ~ else 조건문입니다.그중에서도 오늘은 else 문에 초점을 맞춰, 기본 개념부터 자주 하는 실수, 실전 예제까지 싹 정리해볼게요!🔗 [자바스크립트 조건문 전체 개념 정리 보러가기] else 문이 뭐예요?간단하게 말해서, else는 if 조건이 맞지 않을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이에요.즉, "그렇지 않으면 이거 해!"라고 말하는 거죠.if (조건) { // 조건이 참일 때 실행} else { //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}  예를 들어볼게요:let age = 15;if (age >=.. 2022. 11. 18.
자바스크립트 - if [자바스크립트 if문 완전 정복 가이드] – 조건 처리의 핵심 로직을 쉽게 배우자!웹페이지에서 버튼을 클릭했을 때 메시지를 보여주거나, 로그인 상태에 따라 화면을 다르게 구성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게 있어요. 바로 조건문, 그중에서도 if문이죠.자바스크립트를 처음 배우는 사람부터 실무자까지 무조건 알아야 할 필수 개념이에요.오늘 이 글로 if문의 모든 걸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! 🔗  [자바스크립트  else문 전체 개념 정리 보러가기]  if문이 뭐예요? – 개념부터 시작if문은 말 그대로 "만약 ~라면" 이라는 조건을 검사해서,조건이 참일 때만 특정 코드를 실행하는 제어 구조예요.if (조건) { // 조건이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} 예를 들어, 어떤 사람이 성인인지 확인하려면?let age = .. 2022. 11. 18.
객체Object [자료형] 객체는 {} 안에 let user = { name: "jennie", age: 22, weight: 44, getName : function(){ return "My name i "+this.name } }; console.log(user.name); // 객체에서 값 가져오는 법 1 >> jennie console.log(user["name"]); // 객체에서 값 가져오는 법 2 >> jennie user.age = 29; // 객체에 특정 키 값을 바꾸는법 1 user["age"] = 30; // 객체에 특정 키 값을 바꾸는법 2 console.log(user); >> {name: "jennie", age: 30, weight: 44} let userList = [{name:"jennie", age.. 2022. 11. 18.
배열Array [자료형] 배열은 [] 안에 배열에 들어가있는 아이템에는 모두 인덱스 번호가 부여된다 시작점은 0부터 부여 인덱스 번호로 배열에 있는 아이템들을 접근할 수 있다 let number = ["one" , "two" , "three" , "four" , "five" , "six" , "seven"] console.log(number) >> ["one" , "two" , "three" , "four" , "five" , "six" , "seven"] console.log(number[0]) >> one number[1]="ten" console.log(number) >> ["one" , "two" , "three" , "four" , "five" , "six" , "seven"] console.log(number.leng.. 2022. 11. 16.
let ? var?...!! const 상수를 만들어 준다. (변하지 않는 값) 호이스팅..? 함수가 실행되기 전 안에 있는 변수들을 범위의 최 상단으로 끌어올리는 것 전역변수: 블락 밖에서 선언을 한 어디서든 쓰일 수 있는 변수 지역변수: 블락{} 안에서 선언된 변수. 블락안에서만 사용 가능 var는 함수만 지역변수로 호이스팅이 되고 나머지는 다 전역변수로 만듦 for if ... 등등 var 말고 let 사용하자 2022. 11. 16.
반응형